조연이였던 고현정을 드라마 '모래시계' 주인공으로 만들어 준 드라마 '시청률 50%가 넘었던 여명의 눈동자'
본문 바로가기

연예.스포츠.TV

조연이였던 고현정을 드라마 '모래시계' 주인공으로 만들어 준 드라마 '시청률 50%가 넘었던 여명의 눈동자'


MBC에서 36부작으로 제작, 1991년 10월 7일부터 1992년 2월 6일까지 방영된 수목 드라마. 일제 강점기에서 시작하여 해방 이후의 혼란기를 거쳐 한국전쟁시기에까지 이르는 시대를 다룬 걸작 시대극이다.


격동의 근현대사를 살아가는 주인공 3명의 일대기를 생생한 묘사와 성실한 시대 고증으로 다루었으며, "한국 드라마의 역사는 여명의 눈동자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스케일이나 연출면에서 하나의 이정표를 세운 작품이다.

방영 당시 시청률이나 임팩트도 대단했으며, 작품성 면에서도 역대급으로 손꼽히는 끝판왕급 드라마. 이 작품의 리메이크에 대해 여러 번 얘기가 나왔지만 워낙 걸작이기도 하고 그만큼의 연출과 연기를 해낼 수 있는 사람들을 찾기도 힘들다는 게 중론. 그리고 드라마 제작 환경이 그당시와는 완전히 다르다 보니 돈도 시간도 그 때처럼 쓰기가 불가능해졌다. 상대적으로 싼 가격에 자사의 전속 배우와 성우, 스텝들을 1년이 넘어 2년이 되는 오랜 기간동안 국내외를 돌아다니며 이 작품 하나만을 위해서 갈아넣어가며 거의 대부분을 사전제작 하는 방식의 드라마는 더 이상 나올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나마 넷플릭스 등 OTT가 대세가 된 2020년대 기준으로 제작이 가능할 수 있을테지만 OTT의 경우 해외 시청자층의 입맛에 맞지 않는지라 투자가 이뤄지기 힘들며, 온갖 프로불편러가 판을 치는지라 근현대 배경의 사극이 입지가 많이 줄어버린 상황에서 가능할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원작은 김성종이 1975년부터 1981년까지 일간스포츠에 연재했던 10권 완결의 동명의 소설이며, 송지나가 각색하였다. 수사반장, 인간시장 등을 연출한 김종학 PD가 스타 프로듀서로 이름을 날리게 된 첫 작품이다.

이 작품을 계기로 김종학 사단이라는 용어가 생기는데, 김종학, 송지나 콤비와 함께하는 스태프와 배우들을 뜻하는 말로 그만큼 시청률이나 화제성에서 파워가 강했다는 이야기이다.

몇 회 간격으로 지난 줄거리를 요약한 5분 정도 분량의 오프닝이 있으며, 최종 회인 36회는 약 100여분으로 평소보다 특별히 2배 많은 분량으로 방송되었다.

방영 당시 시청률 50%를 넘어갈 정도에다 화제성 높았던 인기 드라마였지만 믿기지 않게도 사랑이 뭐길래에 밀리는 바람에 명실상부한 콩라인이 되었다.


안명지 역의 고현정은 총 6회 남짓 등장한 조연이었는데, 김종학 PD는 고현정의 가능성에 눈을 떠서 다음 작품인 모래시계의 주인공을 맡겼다. 이때 최재성도 태수 역으로 물망에 올랐으나, 본인이 거절하여 최민수가 맡게 된다.

적어도 세 번 정도는 엎어질 뻔한 기획이었고 1980년대 초에 영화화 계획이 있었으나 시대가 시대인지라 감독이 구속되었다. 김종학 감독도 위에서 여러 번 반려된 기획이었는데 1990년 SBS의 개국에 따른 맞불 전략으로서 MBC가 전폭적으로 밀어주었다.

드라마의 작품성과 달리 원작은 포르노나 다름 없는 수준으로 연재 당시 몇 번이나 외설 혐의로 경고 조치를 받았던 작품이다.1978년 단행본 초기 판은 검열삭제 장면이 상세하게 나오지만, 1982년에 발간된 단행본은 연재본의 외설적인 부분을 삭제해서 출간했다. 드라마 방송 후 다시 나온 판은 몇부분 이전 연재분을 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