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한 엄마찬스에 대하여는 사과하는 것이 진정한 엄마의 역할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사건.사회.정치.역사.인물

부당한 엄마찬스에 대하여는 사과하는 것이 진정한 엄마의 역할입니다


부당한 엄마찬스에 대하여는 사과하는 것이 진정한 엄마의 역할입니다

 

10 22일 서울대 국정감사에서 오세정 서울대 총장은 나경원 전 의원의 고교생이었던 아들이 서울대 소속으로 기재되어 연구성과물에 이름을 올린 것은 명백하게 잘못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나 전 의원은 서울대 총장의 답변을 인용하여 서울대 연구시설을 외부인이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고, 자신의 아들이 1저자가 된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민주당과 일부 언론이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공공기관인 서울대가 연구시설을 개방하지 않을 이유는 없고, 꼭 필요한 국민에게 사용 기회를 제공하는 게 바람직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일반인들은 서울대 실험실을 사용할 기회를 감히 생각하기도 어렵지만, 엄마찬스를 사용하면 인맥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나아가 해당 서울대 지도교수는 언론과의 통화에서 당시 해당 학생이 한 연구는 고등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연구가 아니라서 본인이 스스로 알고서 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아이디어를 준 뒤 실험을 주도적으로 한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엄마찬스가 없었다면 해당 연구 자체를 생각하기 어려웠다는 것인데, 이것을 어떻게 아들이 땀으로 만들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까?

 

또한 나 전 의원의 아들이 밀라노에서 열린 학회에 참석이 어려워 대학원 신입생인 2저자가 대리발표한 사실이 확인되었는데, 이에 대해 나 전 의원은 마침 해당 학생이 참석하여 발표한 것뿐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앞서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는 이 논문에 대하여 저자로 포함될 이유가 없는 대학원생을 2저자로 기재하게 한 점이 부당한 저자표시라는 점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엄마의 역할에 대하여 묻습니다. 다른 엄마들은 할 수 없는 지인찬스를 이용하여, 외국에서 공부하는 고등학생 아들에게 서울대 지도교수에게 아이디어를 얻어, 서울대 실험실에서 연구를 하고, 연구성과물에 서울대 소속으로 이름을 올려서 결국 명문대에 진학하도록 한 것이 과연 적절한 것입니까? 만약, 하나의 질문에 대해서라도 답변이 불가능하다면 나 전 의원의 아들에게 주어진 기회는 특혜이고, 엄마찬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