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대세론, 국민의힘 전당대회 룰 개정 논의와 한계
본문 바로가기

사건.사회.정치.역사.인물

한동훈 대세론, 국민의힘 전당대회 룰 개정 논의와 한계

한동훈

 

다음달 말 예정된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당대표 선출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당권 주자들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지도체제 변경과 같은 전당대회 룰 개정 논의는 빈손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 이로 인해 현행 당원투표 100%인 전대 룰에서 민심 반영 비율이 소폭 반영되는 정도로 그칠 전망이다.

전당대회 룰 개정 특위의 활동 종료

9일 여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는 12일을 활동 시한으로 두고 있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이번 전당대회는 6월 23일에서 25일 사이에 치러질 예정이며, 특위는 민심 반영 비율, 지도체제 전환, 역선택 방지 조항, 당권·대권 분리 등의 안건을 검토했다. 하지만 당원 100%를 반영하는 방식을 일부 수정하는 것 외에는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황이다.

특위 활동의 한계와 현황

특위 위원 중 한 명은 “일반 여론조사를 20% 또는 30% 반영하는 방안 외에는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당 지도부는 올림픽 이전 전당대회를 치르기로 해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기 때문에 특위는 추가 활동 기간을 연장하지 않고 12일 해산할 예정이다.

민심 반영 비율 조정의 배경과 비판

특위는 2022년 전당대회에서 당심 100%로 개정된 전대 룰을 변경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는 4·10 총선에서 참패한 이후 당원이 아닌 민심 반영을 높여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이다. 그러나 민심 반영 비율을 20~30%로 조정하는 방안은 혁신적인 조치가 아니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일반 여론조사 비율을 일부 반영해도 현재 유력한 한 전 위원장의 당락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도체제 변경 논의와 현실적 어려움

당대표 1인 중심의 단일 지도체제를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하거나 2인 지도체제로 전환하는 방안도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한 전 위원장을 견제하기 위한 방안이지만, 친윤계, 친한계, 당권 유력 후보들의 의견이 각기 다르고 과거 지도체제 전환 시 실패한 경험이 있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동훈의 결단과 대권 도전 변수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정치 복귀가 임박했음을 시사하는 발언을 계속하고 있다. 한 전 위원장이 당대표에 출마할 경우, 대권 도전을 위한 사퇴 규정이 변수가 될 수 있다. 국민의힘 당헌에 따르면 대권 주자는 1년 6개월 전 사퇴해야 하며, 이는 2026년 6월 지방선거 이전에 사퇴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결론

국민의힘 전당대회는 한동훈 전 위원장의 유력한 당선 가능성 속에서 룰 개정 논의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지도체제 변경과 민심 반영 비율 조정 등 여러 안건이 논의되었으나, 실질적인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이제 전당대회의 향방은 한동훈 전 위원장의 결단에 달려 있으며, 그의 정치적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