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생소한 향신료 '팔각'의 사용법과 효능
본문 바로가기

음식.맛집.요리.레시피

한국에선 생소한 향신료 '팔각'의 사용법과 효능



중국이나 한국에서는 팔각(八角)이나 팔각회향(八角茴香)이라고 부르며, 영어로는 Star Anise라고 부른다. 한자 명칭이나 영어 명칭이나 모두 열매가 여덟 꼴 별 모양처럼 자라는 것에서 이름을 땄다. 물론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삐침이 일곱 꼴인 것도 가끔 있다.

중국 요리, 특히 상하이 요리에 많이 쓰이며, 동파육, 오향장육등 삶은 중국 고기 요리에서 나는 향 중에 상당 부분이 팔각의 향이다. 인도 요리에서도 가람 마쌀라라고 불리는 기본 향신료 조합에 들어간다. 한국에서는 아직 생소한 향신료 중 하나. 한국인이 이걸 접할 수 있을 때는 족발.

향신료로서는 상당히 알싸하고 달콤한 향을 내며, 누린내 제거 효과가 강력하다. 보쌈용 돼지고기 삶을 때 한조각씩 넣으면 색다른 풍미를 느낄 수 있다. 향이 강하므로 고기 1킬로그램에 몇 개만 넣어도 된다. 중국식 고기 요리에는 빠지지 않고 들어가지만, 국내에서는 족발을 초벌 삶을 때나 쓰인다. 역시 보쌈을 판매하는 곳에서도 누린내 제거용으로 사용된다. 때문에 식자재 판매점에서 구입할 수 있으나 개인이 찾는 경우가 드물기에 기본 단위가 500g. 외국 식료품점에서는 소량으로 구할 수 있다.

의학적 용도도 있는데, 중국에서는 관절염에 좋다고 전해져 내려오면서 관절염 환자들에게 차로 끓여주는 민간요법이 있으며, 현대에는 그 유명한 타미플루의 원재료로 쓰인다. 2009년 당시 돼지 독감이 유행했을때 타미플루의 수요가 갑자기 폭증하여 식당에 팔각을 공급하지 못해 전 세계의 중국집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정향과 육두구의 조합으로 땜빵했다는 기록도 있다.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게, 팔각에 독감을 낫게하는 효능이 있는 것은 아니다. 팔각회향은 단지 타미플루(오셀타밀비르인산염)의 원재료인 시킴산을 추출하기 쉬워서 쓰이는 것 뿐이다. 비슷한 예로 키토산이 몸에 좋다고 해서 단지 재료인 키틴질을 먹어봐야 아무 효과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

일본과 제주도에도 비슷한 사촌관계인 붓순나무라는 종이 자생하는데, 절대로 먹지 말기를 바란다. 일반적으로 향신료로 쓰이는 팔각과는 달리 매우 강한 신경계 독이 들어있다. FDA에서도 경고한 바 있다. 붓순나무의 열매가 작고 불규칙적이라는 것으로 구별할 수는 있다.

최근에는 중국 식재료 판매소에서 소량씩 소분해 팔기도 하니 참고. 센스 있는 정육점에서는 준비해 두고 손님들에게 주기도 한다. 한약재상에서도 구할 수 있으며 말린 씨앗이라 보존 기간도 길고 그다지 비싸지 않은 향신료이다.

국내에서는 중국집에서도 보기 힘든 향신료였지만, 최근 마라탕 열풍이 거세지면서 수요가 좀 늘어났다.

팔각의 효능 

몸을 따뜻하게 한다 
위장을 편안하게 한다 
식욕을 증진시킨다 
통증을 완화시킨다 
기의 순환을 돕는다 

모유 촉진에 도움이 된다


 

파프리카와 피망은 뭐가 다른거지?????

가지과(Solanaceae) 고추속(Capsicum) 고추종(annuum) 의 채소. 토마토/감자/가지와는 사촌, 고추/피망과는 동일한 종으로, 생긴 것만 다르지 한 가족이나 다름없다. 현재 시중에 파프리카라고 유통되는...

issuemoya.tistory.com

 

강황과 울금은 같을까 다를까???

강황 강황은 생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남아시아의 토종 식물이며, 기온이 20~30도 되며 많은 비가 내리는 곳에서 잘 자란다. 카레 등에 넣는 향신료로서 잘 알려져 있다. 중국 남부에서부...

honeytip.tistory.com

 

위를 튼튼하게 해주는 월계수잎

높이 15m, 나무껍질 짙은 갈색, 잎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고 짙은 녹색이고 길이 8cm, 폭은 2~2.5cm, 문지르면 향기가 남. 꽃은 암수 딴나무이며 4~5월에 피고, 노란 색에 꽃잎이 4장, 열...

honeytip.tistory.com

 

향신료로 쓰이는 산초의 효능

산초(山椒)나무는 쥐손이풀목 운향과 초피나무속 낙엽관목이다. 거의 똑같이 생기고 맛도 똑같으며, 생물학적으로도 똑같이 초피나무속(Zanthoxylum)에 속하는 초피와 헷갈리기 쉬운데, 나뭇잎 모...

honeytip.tistory.com

 

까도까도 계속 나오는 양파의 효능

양파 서아시아 또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라고 추측되는 채소. 재배 역사는 4천년 이상 되었다고 한다. 이름이나 맛에서 알 수 있듯이 파(Allium fistulosum)와 비슷한 종이다. 참고로 대한민국에서는...

honeytip.tistory.com

 

한국 음식의 주인공 마늘

마늘 이집트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 외떡잎식물. 아스파라거스목 수선화과 부추아과 부추속에 속한다. 한국인과 매우 밀접한 식용 작물 중 하나이다. 이름의 유래 《명물기략》에 따르면 맛과...

honeytip.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