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초고속 열차 '하이퍼루프'를 깔겠다는 나라
본문 바로가기

유머.신기.재미.이슈

전국에 초고속 열차 '하이퍼루프'를 깔겠다는 나라

전기차(순수전기차)메이커인 테슬라와 민간우주로켓회사 스페이스X의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참고로 이 하이퍼루프 계획은 오픈소스다. 그러니까, 모든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는 것.

외형상으로는 레일도 안 보이고 차량 자체도 1량이기 때문에 철도 관련 정보에 넣어야 할지 애매하다. 열차라기보단 캡슐, 내지는 지상을 달리는 날개 없는 항공기(?)에 더 가까운 생김새다. 하지만 정해진 노선대로만 운행 가능하므로 크게 분류하면 엄연히 궤도 운송수단으로 볼 수도 있다. 차량도 1량이라 그렇지 기술적인 면에서 초고속 버전 경전철 혹은 자기부상열차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다.
완전히 밀폐된 터널(튜브)을 고가로 건설하고 그 안을 낮은 기압 상태로 만든 뒤 1량짜리 열차를 쏘아 날린다는 개념. 열차는 튜브 외부에 설치한 리니어 모터로 가속한다. 캘리포니아 고속열차 사업이 비싸고 느리기만 하다면서 엘론 머스크가 화나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컨셉아트를 보면 열차에 팬이 달려 있는데 이 팬의 역할은 열차를 공중에 띄우는 역할을 한다. 즉 공기 베어링을 형성하는 데 쓴다. 추진 자체는 외부 리니어 모터로 하므로 많은 전력은 필요가 없어 자체 내장된 배터리를 사용한다.
열차 추진에 사용하는 외부 리니어 모터는 튜브 지붕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로 충전(태양광 발전)하며 따라서 하이퍼루프를 운영하는 유지비 중 전기료 부담은 적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현실적으로 보았을 때, 수십, 수백 km에 달하는 구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을 감안한다면 유의미한 이익은 없을것으로 예상된다.
그렇지만 현실을 감안하였을 때, 이는 적용이 불가능한 방식이다. 태양광 발전의 효율과 이가 가지는 근본적인 문제를 감안하고, 철도를 비롯한 교통수단에 투입되는 전력량을 고려하면 이는 공상과학 소설에서나 가능한 방식이며, 현실성이 없는 구상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나아가 해당 튜브는 진공을 유지해야 하며 꾸준한 유지/보수를 전제로 한다. 각종 건축물은 지반침하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한 균열이 생겨서 끊임없는 보수를 필요로 한다. 즉, 진공을 유지하는 튜브는 일반적인 건축물에서 용인되는 균열조차도 생겨서는 안 되는 것이다. 하다 못해 일반 건축물도 균열이 아예 발생하지 않을 수는 없는데, 이에 대한 대비책도 있어야 한다. 이런 요구사항을 갖는 대형 건축물에다가 태양광 패널을 덮어 전기를 생산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그 유지비는 기존의 교통수단을 확충하는 것을 가볍게 뛰어넘는 비용이 될 것임은 자명하다.

또한, 튜브트레인과 다른 점은 튜브 안이 그냥 낮은 기압 정도일 뿐 진공/아진공상태는 아니라는 점. 그러므로 해당 튜브는 아진공을 버틸 뿐 아니라 튜브 안에 존재하는 기체로 인한 소닉붐을 버틸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