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의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전세계 대상 위성 인터넷망 구축 프로젝트다.
2020년대 중반까지 1만 2천여개에 이르는 통신 위성을 발사해 전세계에 통신속도 1Gbps의 초고속 인터넷을 보급하겠다는 계획이다.#이 프로젝트를 위한 위성의 수는 현재 작동 중인 모든 위성의 수보다도 많으며, 하나 하나의 위성도 큐브샛이라 불리는 100kg 미만의 초소형 위성이 아닌 400kg의 마이크로셋 규모의 위성이다. 먼저 저고도에 4425개의 위성을 발사하고, 그보다 낮은 초저고도에 7518개의 위성을 발사해 지구 전역을 아우르는 커버리지를 구축할 예정이다. 너무 대규모 프로젝트라 실현 가능성에 의구심이 들기도 하지만 이미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FCC에 발사 허가 신청을 제출하고 구글과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사모펀드)로부터 10억 달러의 투자를 받은 상태다. 이 계획이 실현된다면 스페이스X는 연간 300억달러의 매출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계획 발표에 언급은 되지 않았지만 일론 머스크가 예전부터 언급해온 우주 인터넷의 기초공사로 여기는 시선이 많다. 당장 2024년에 예정된 유인 화성탐사를 위해서도 화성에 인터넷을 연결할 필요가 있다.
특이하다면 특이한점으로, 위성을 상시 추적해야 하기 때문에 흔히 접시라고 불리는 파라볼릭 안테나가 아닌 위상배열 방식의 흔하지 않은 안테나를 사용하는데, Space x가 밝힌바로는 한화로 악 24~25만원정도의 비교적 싼 가격으로 제작할 계획이라고 한다.
2020년 연내 북미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며, 홈페이지에서 신청자를 모집하고 있다. 접수 자체는 지역과 무관하게 전세계를 대상으로 받고 있다. 해당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해지면 알림을 보내준다고 한다.
2020년 10월 15일, 캐나다 라디오텔레비전 통신위원회가 스타링크 위성 광대역 인터넷의 서비스 자격을 승인하였다.
모바일.인터넷.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