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자 배당, 삼성·한화·교보의 새로운 고민
최근 삼성, 한화, 교보 등 대형 보험사들은 유배당 보험의 계약자 배당 기준에 대한 촉각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들 보험사는 현행의 계약자 배당 산정 방식이 각 계약에 따라 다르게 적용돼 이해관계 상충을 야기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새로운 계약자배당 제도를 모색하고 있는데, 이는 생명보험사의 미래에 새로운 흐름을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IFRS17 도입과 계약자배당 제도의 과제
올해 새로 시행된 회계제도인 IFRS17은 보험업계 전반에 새로운 감독회계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계약자 배당 제도는 아직 현행 기준을 따르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최근 열린 'IFRS17과 계약자배당 제도' 공청회에서는 계약자 배당 제도의 개선 방안이 논의되었지만, 아직까지는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실정입니다.
공평성, 탄력성, 간명성, 계속성의 중요성
IFRS4를 따르는 계약자 배당은 유배당 보험에서 이익 발생 시 일부 이익을 보험계약자에게 환원하는 제도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공평성, 탄력성, 간명성, 계속성이라는 계약자 배당 원칙입니다. 그 중에서도 공평성이 계약자 간 이해상충을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생명보험사의 유배당 계약 준비금은 상당한 규모에 달하며, 이에 대한 배당 산정 방식의 문제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현행 계약자배당 준비금 제도의 한계
현행의 계약자배당 준비금 제도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 손해보험사가 계약자 배당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손해보험사의 금리연동형 상품 부리이율이 생명보험사의 부리이율보다 높은 상황에서 현행 방식을 유지할 경우 손해보험사의 유배당 상품 계약자와의 분쟁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혁신적인 계약자배당 제도의 필요성
금융당국과 학계 등 이해관계자들은 계약자배당 제도의 개선안을 추진하고, 법적 이슈 발생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계량영향평가(QIS)가 진행되고 있는데, 계약자 배당의 기준점은 아직까지 명확히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당국은 계약자 배당이 적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결론
현행의 계약자 배당 제도에서 나타나는 이해상충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인 방안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계약자 배당의 적정성을 유지하고, 업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의 토의와 논의를 통해 혁신적인 계약자배당 제도가 구체화되기를 기대합니다.
재테크.금융.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