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좋은 양파의 효능을 알아보자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몸에 좋은 양파의 효능을 알아보자

서아시아 또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라고 추측되는 채소. 재배 역사는 4천년 이상 되었다고 한다.

이름이나 맛에서 알 수 있듯이 파(Allium fistulosum)와 비슷한 종이다. 참고로 대한민국에서는 서양에서 들어온 파라는 뜻으로 양파라고 하지만, 북한에서는 비늘줄기의 둥근 특징에 따라 '둥글파'라고 부른다.

둥근 모양과 납작하게 둥근 모양 등이 있으며 사람이 식품으로 먹는 부분은 발달된 비늘줄기다. 싹과 뿌리가 없고 중심이 단단하며 껍질에 광택이 나는 적황색 양파가 좋은 것이다.

성분은 수분이 90%이고, 탄수화물이 많으며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중에는 칼슘, 인, 철분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황도 들어 있다. 황은 인체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각종 대사에 이용되므로 양파의 황을 먹는 것이 몸에 좋지만, 황 성분이 입안에 남아 오랫동안 입냄새를 유발하기에 꺼리는 사람도 많다. 레몬이나 녹차가 양파 입냄새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니 참고하자.

자줏빛을 띠는 적양파도 있다. 이쪽은 단맛이 더 강하기에 양파 특유의 알싸한 매운맛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 편. 특유의 붉은 계통의 빛깔이 입맛을 돋우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샐러드 등에 장식용으로도 많이 쓰인다.


지역을 막론하고 호불호가 뚜렷하게 갈리는 식품이다.

생양파가 성숙하면 포도당의 양이 증가해서 단맛이 강해진다. 코를 막고 먹으면 양파와 사과를 구분할 수 없다고 하는데, 실제로 서양 문학에서는 달고 아삭아삭한 것을 표현할 때 양파와 사과를 나란히 놓는다. 괜히 최면술사들이 양파 먹이는 최면을 선보이는 게 아니다! 그렇지만 특유의 매운맛과 향도 있기 때문에, 이전에 한 번 먹어보고는 매운맛에 데인 어린이들이 기피하는 일이 허다하다. 양파의 매운맛을 느껴보지 못했지만 특유의 강한 단맛 때문에 기피하는 어린이들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당근, 파와 더불어 아이들이 싫어하는 음식 상위권에 꾸준히 랭크되기도 한다. 더욱이 당근, 파와 같이 익힐 경우 식감이 물컹물컹해지는지라 양파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 어릴 적부터 쭉 싫어했던 사람들이 많은데 그만큼 양파에 대한 비호감은 오래 간다.

양파를 익히면 단맛이 더 강해지는데 이것은 매운맛 성분인 프로필 알릴 다이설파이드, 알릴 설파이드가 열이 가해지면 대부분이 기화하고 나머지는 분해되어 설탕의 50~60배의 단맛을 내는 물질인 프로필메르캅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물론 양파에 함유된 프로필메르캅탄의 양 자체가 적기 때문에 설탕을 직접 입에 넣을 때처럼 자극적이고 강한 단맛이 나지는 않고, 양파 특유의 향과 어우러지는 은은한 단맛을 느낄 수 있다. 이 단맛이 대부분의 요리와 어색함 없이 어우러지기 때문에, 고기 요리를 할 때 함께 넣어 푹 익혀주면 맛과 영양소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 야채를 싫어하기 쉬운 어린이들이나 가리는 것이 많은 어른이들도 양파만큼은 거리낌없이 먹는 경우가 많다. 요리할 때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데 뿌리 가까이 있는 뭉친 부분은 쓴맛이 나기 쉽고, 잎이 난 주변 또한 쓴맛이 난다. 상해가는 부분 또한 쓴맛이 나니 강한 양념으로 묻어버릴 것이 아니면 조리 전에 모두 떼어내야 한다. 달고 아삭한 맛을 위해서는 너무 적게 익혀도 안 되고 너무 많이 익혀도 안 되니 조리 도중 틈틈히 확인하는게 좋다. 또한 양파의 단맛이 오히려 국물 맛을 해치는 경우도 있는데, 개운한 국물을 내야 하는데 양파를 섣불리 쓰면 단맛이 개운한 맛과 다른 맛을 모두 집어삼켜버리므로 사용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특히 분식집에서 멋모르고 라면, 우동에 양파를 넣었다간 금세 수직 하락하는 매출을 맛볼 수 있다. 다시국물을 내는데 양파 대신 무를 쓰는 이유.

상술했듯이 붉은 빛을 띠는 양파는 단맛이 무척 강하다. 사각사각하고 달달한데 하얀 양파와는 달리 매운 맛이 적어서 생으로 먹기에 좋다. 하지만 아예 매운 맛이 없는 건 아닌지라 과일처럼 생으로 와구와구 먹으면 눈물 콧물 가래가 쏙 빠진다. 그 외에도 생양파를 그냥 먹으면 속이 쓰린 느낌이 든다.


고혈압을 예방하고 황화아릴성분이 체내에 들어가면 알리신으로 변하기 때문에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혈액순환이 좋아져 위장기능을 좋게 하며 혈액 속 콜레스테롤을 저하시켜 심장병 같은 성인병 예방 효과도 있으며 피로해소에도 좋은 강장식품이다. 고대 이집트에선 인부들에게 양파와 마늘 공급이 끊기면 난리가 났을 정도라고 한다.


성욕증진과 정력보강에 효과가 있다. 대표적으로 퀘르세틴(quercetin)과 페쿠친이라는 성분은 항산화 작용과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이외에 마늘에 들어있는 알리신이라는 성분은 양파에도 들어 있는데, 이 성분도 정력에 좋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프랑스에선 신혼부부가 호텔에 숙박하면 아침 식사 메뉴에 양파 수프를 포함시킨다고 한다. 그리고 아픈 아이들에게 양파 수프를 자주 끓여주는 문화가 있다고 한다.

껍질 쪽에 영양소가 많이 들어있는데 특히 퀘르세틴의 경우에는 속에 비해 60배나 들어있다. 양파 껍질이란 게 결국은 양파의 바깥쪽 알맹이 한두 겹이 건조되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피 대비 영양소가 많은 것이다. 다만 먹기엔 아무래도 불편하니 껍질만 따로 씻어서 말려 차로 끓여먹으면 좋은데 양파향이 많이 나긴 하지만 특유의 양파 매운맛은 거의 느껴지지 않고 몸에 아주 좋다. 육수를 낼 때 껍질을 넣기도 한다. 또한 지방분해 효과도 있어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양파즙이 탈모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말이 있으며 사용법은 양파즙을 그대로 머리에 바르는 것이라고 한다. 백년손님에서 이봉주의 장인이 양파즙을 준비해서 이봉주에게 바른 적이 있다. 다만 탈모에 관해 효과가 확실히 검증된 것은 전문의약품(피나스테라이드, 두타스테라이드) 처방뿐이며 나머지는 전부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대체요법에 불과하다.

양파 달인 물을 마시면 불면증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민간요법도 있다.

참고로 개와 고양이에게는 절대로 주면 안 되며 양파, 파, 마늘의 특정 성분이 적혈구를 파괴해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으므로. 익히면 사라진다고 하지만 잔류 성분이 남을 수 있으니 급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 수의사들은 양파와 함께 요리한 식품은 개에게 주지 못하게 한다. 예를 들어 베트남식 쌀국수에는 국물에 고기와 양파가 들어있는데, 그 고기를 건져내 개에게 주는 것도 금지한다.